오늘부터 은행연합회에 가면 은행별로 금리를 비교할 수가 있는데요..
추가로 은행별로 대출금리에서 예금금리를 뺀 예대금리도 같이 볼 수가 있습니다.
예대금리차 = 대출금리 - 예금금리
즉, 은행의 금리 마진을 뜻하는데요.. 최근 금리가 많이 오르면서 은행이 땅짚고 헤엄치듯이 막대한 이자 수익을 거두고 있다고 하는데요..
2022년 상반기에만 이자수익이 26조라고 합니다. 작년 상반기와 비교했을때 18%나 늘어난 금액입니다.
어떤 은행이 많은 예대금리차이로 큰 이익을 보고 있는지 살펴봅시다.
아래는 공통적으로 분할상환방식의 10년이상의 주택담보대출을 신규로 받을때 2022년 8월에 적용되는 금리입니다.
[국민은행]
- 2022년8월의 1등급 기준으로 주택담보 대출 금리는 4.13% 입니다.
- 카드사용, 이체실적, 급여이체등의 할인 항목이 적용되기 전의 표준 금리입니다.
- 신용점수 600점 이하도 4.24%로 그렇게 크게 차이가 없는것 같습니다.
- 예대금리차는 중하위 구간인 700~651점 사이가 가장큰 1.34 입니다.
- 평균금리는 7월에 신규로 대출받은 사람들의 평균값으로 4.13%입니다.
[신한은행]
- 2022년8월의 1등급 기준으로 주택담보 대출 금리는 4.39% 으로 국민은행보다는 조금 높은 편입니다.
- 카드사용, 이체실적, 급여이체등의 할인 항목이 적용되기 전의 표준 금리입니다.
- 신용점수 600점 이하도 4.46%로 그렇게 크게 차이가 없는것 같습니다.
- 예대금리차는 전반적으로 높은 편이며, 중하위 구간인 700~651점 사이가 가장큰 1.76 입니다.
- 평균금리는 7월에 신규로 대출받은 사람들의 평균값으로 4.46%입니다.
[우리은행]
- 2022년8월의 1등급 기준으로 주택담보 대출 금리는 4.62% 으로 신한은행보다는 조금 높은 편입니다.
- 카드사용, 이체실적, 급여이체등의 할인 항목이 적용되기 전의 표준 금리입니다.
- 신용점수 600점 이하도 5.24%로, 신용등급 1등급 구간과 0.6% 정도 차이가 발생합니다.
- 예대금리차는 전반적으로 높은 편이며, 신용등급이 낮을수로 예대금리차가 높아지는 모습입니다.
- ( 즉 저신용자로 부터 큰 이득을 취하는 은행입니다. )
- 평균금리는 7월에 신규로 대출받은 사람들의 평균값으로 4.65%입니다.
[하나은행]
- 2022년8월의 1등급 기준으로 주택담보 대출 금리는 4.15% 으로 국민은행과 비슷하게 낮은 수준입니다.
- 카드사용, 이체실적, 급여이체등의 할인 항목이 적용되기 전의 표준 금리입니다.
- 신용점수 600점 이하도 4.22%로, 신용등급 1등급 구간과 0.05% 정도로 차이가 별로 없습니다.
- 예대금리차는 전반적으로 낮은 편이며, 신용등급에 따라서 차이가 별로 없습니다.
- 평균금리는 7월에 신규로 대출받은 사람들의 평균값으로 4.17%입니다.
그럼 시중은행 19개 중에서 가장 주택담보 대출이 저렴했던 은행은 어디였을까요?
대출금리는 매월 변경되는 것이라서 2022년 7월에 시행되었던 대출금리 자료중에서 선별하여 뽑아 봤습니다.
두둥~~
두둥~~
두둥~~
바로바로 예전의 제일은행이 외국으로 팔린 스탠다드차티드 은행입니다~
2022년 7월 시행된 주택담보대출을 가장 저렴하게 시행한 은행입니다. ㅊㅋㅊㅋ
[스탠다드차티드은행]
- 2022년8월의 1등급 기준으로 주택담보 대출 금리는 4.03% 으로 가장 낮은 금리입니다.
- 예대금리차는 전반적으로 낮은 편입니다.
- 앞으로도 가장 낮을 것이라는 보장은 없지만, 대출 계획이 있다면 한번 방문해서 발품을 팔아 보세요~
- 운이 좋으면, 국내 4대은행보다 더 낮은 금리로 대출을 받을 수도 있습니다.
참고로 은행금리 비교는 전국은행연합회에서 조회할수 있습니다.
https://www.kfb.or.kr/main/main.php
'경제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알프레드 존스가 만든 헤지펀드 원리? (0) | 2023.03.01 |
---|---|
[경제상식] 요구불예금회전율과 통화승수 알아보기 (0) | 2022.09.08 |
2021년귀속 2022년 연말정산 변경사항 총정리 (0) | 2022.01.10 |
국세 납세증명서 인터넷으로 발급받기 (무료) (0) | 2021.02.08 |
지방세 납세증명원 인터넷으로 발급받기 (무료) (0) | 2021.02.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