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024년 7월부터 입자가 시작된 아파트 인데... 

하자 천국이라고 소문이 났습니다. 

 

 

안방 천장인데 물이 뚝뚝 떨어지고 있습니다. 

5억이나 주고 입주한 아파트 인데, 이사를 하지도 못하고 근처 숙박업소에서 지내고 있다고 하네요.. 

아파트 천장에 누수

 

 

아래는 안방 천장입니다. 

누수가 있어서 천장을 다 뜯어내고 개판입니다. 

도대체 저렇게 만들고 입주를 하라는 건설사도 참 가관입니다. 

 

 

 

아래는 5월 사전점검때 발견된 하자들 

어디 건설사냐? 

한라비발디냐? 

입주 사전점검 하자

입주전까지 99% 의 하자를 보수하겠다고 했는데.. 

음.. 역시 건설사의 약속은 믿으면 안되는 건가~ 

 

 

입주 사전점검

위 사진은 정말 말이 안나온다. 개판으로 해놓고 사전점검을 하라니.. 

우리나라 왜 이렇냐? 

 

그리고 정말 중요한거. 

 

상황이 이런데도 사용승인을 내준 지자체~ 건설사한테 뭐 받은거 아니고 서야 이런걸 승인 했다고? 

직무 유기아닌가.. 

 

어째든 이번주 다음주 비가온다고 하는데, 큰 피해 없기를 바라면서 

7월16일까지 하자처리에 온 힘을 쏟는다고 하는 건설사의 말을 믿으면서 기다려 봐야 할듯 합니다. 

 

반응형
반응형

언제부터인가 컴퓨터를 키면 오른쪽 하단에서 광고가 뜨기 시간한다. 

시스템 트레이를 찾아 봐도 광고로 의심되는건 없어 보이는데.. 

그래서 조사해서 알려준다 

 

1. 먼저 검색창에서 "시작"으로 검색한다. 

 

2. 그리고 "HncUpdateTray" 를 찾아서 끔 상태로 변경합니다. 

이건 한글과 컴퓨터의 업데이트를 해주는 프로그램인데, 한글과 컴퓨터가 회사사정이 않좋은 건지 저기에 광고를 넣고 있네요.. 

 

 

3. 이건 추가적으로 하면 좋은 것인데요..

설정앱에서 "개인정보 -> 일반" 으로 들어가서 아래의 4가지를 모두 꺼주세요 

 

하나씩 설명을 해보면.. 

  • 앱에서 광고 ID를 사용하여 앱 활동을 기반으로.. 
    • 이건 말그대로 내 활동접보를 수집해서 맞춤형 광고를 표시하겠다는 설정입니다.
    • 우리가 인터넷에서 침대를 검색했을때 침대광고가 표시되는 것이 이것때문입니다. 
  • 웹 사이트에서 내 언어 목록에 액세스하여 관련 콘텐츠.. 
    • 이것도 비슷한 역활을 하는 것이라서 끔 상태로 변경합니다. 
  • Windows 추적 앱 시작프로그램에서.. 
    • 이건 시작프로그램이 정보를 수집하도록 허용하는 것이라서 마찬가지로 끔 상태로 변경합니다. 
  • 앱 설정시 제안되는 내용 표시 
    • 딱 봐도 알겠죠? 꺼야 합니다. 

 

 

 

마지막 꿀팁 하나더~ 

 

혹시 크롬을 사용하시는 분은 페이지에서 알림설정한 것들을 한 번 확인해 보세요.

저는 페이스북 알림허용이 되어 있어서 인지 컴퓨터 시작할때마다 페이스북에서 이상한 알림창을 띄우더라구요.

확인 방법은 크롬의 우측 상단의 점세게 ( ... ) 를 클릭해서 설정으로 들어가서

"개인정보보호및 보안 -> 사이트설정 -> 알림"항목으로 들어가세요 

찾기가 어려우면 아래를 복사해서 주소창에 복사붙여넣기 하세요 

chrome://settings/content/notifications

 

 

여기서 저는 페이스북의 알림을 허용안함으로 변경했습니다. 

 

 

그럼 더이상 페이스북에서 웹브라우져로 알림을 보내지 못합니다. 

 

반응형
반응형

요즘은 각 지자체에서 들어주는 보험들이 많은데요.. 

중요한건 내가 가입신청을 안해도 자동으로 가입이된다는 점이고~  ( 주민등록이 등록되어 있으니 자동으로 ) 

사고 발생시 보험금 청구는 수동으로 해야 한다는 점입니다~   ( 누가 상해를 당했는지 모르니 당연한 ) 

 

그러면, 내가 사는 동내에서 가입되어 있는 보험은 어떻게 알 수 있을까요? 

각 지자체별로 홈페이지를 들어가서 찾아봐도 되는데, 

간편하게 네이버 검색을 통해서 알 수 있습니다. 

 

[검색방법] 

  1. 네이버에 접속
  2. '우리동내 무료보험' 을 입력하고 검색 

 

그럼 위의 동그라미 친 부분에서 본인이 살고 있는 지역을 입력하면 조회해 볼 수 있습니다. 

 

그럼 최근 인구 100만이 넘은 화성시는 어떤 보장을 해주고 있는지 살펴 볼까요? 

 

화성시 시민안전보험

 

 

화성시에 살고 있는 사람이면 제공되는 시민안정보험은 2가지 항목입니다. 

  • 상해의료비 ( 자전거 및 개인형이동장치 사고 포함)
  • 상해사망 장례비 ( 개인형이동장치 사고 포함 ) 

관련해서 아래의 뉴스도 있는데요.. 

https://www.newsis.com/view/?id=NISX20230905_0002438631&cID=10803&pID=14000

 

뉴스의 내용을 요약하면 대략 아래와 같습니다. 

  • 상해의료비 지급액은 지난해 1인당 100만 원에서 70만 원으로 하향 조정
  • 상해사망장례비는 1인당 1000만 원에서 2000만 원으로 상향 조정
  • 올 해 지급 한도액은 상해의료비와 상해사망장례비를 합쳐 총 35억
  • ( 즉 보험가입기간에 보험료를 다 소진하면 더이상 보험금을 받을수 없다 )
  • 보험청구방식은  화성시홈페이지 시정알림방에 ‘화성시 시민안전보험’을 검색해서 

 

 

[청구방법]

아래에 화성시청 홈페이지를 통해서 신청서 서류를 다운받아서 작성한다. 

그리고 추가로 필요한 서류를 준비한다. 

청구는 DB손해 보험에 청구를 한다.

 

https://www.hscity.go.kr/www/user/bbs/BD_selectBbs.do?q_bbsCode=1019&q_bbscttSn=20230828114348330

 

화성시청 > 행정정보 > 알림정보 > 시정알림방

※ 3년동안 청구 가능하나 총 보상한도액 소진 시 지급이 종료될 수 있으며     2022년 보험의 상해의료비의 경우 보험금 소진으로 지급 종료되었음(장례비는 청구 가능) 

www.hscity.go.kr

 

[준비서류] 

 

 

 

[유의사항] 

 

[접수처]

 

 

중요한것은 보장받을수 있는 상해의 종류인데요~ 

대략 아래같은 것들이 가능합니다. 

 

보장항목

  • 자전거나 퀵보드 사용중 발생한 상해
  • 교통하고 상해 ( 단 자동차보험에서 보장되는 것 제외 ) 
    • 예를 들면, 대중교통을 이용하다가 다친경우 
    • 버스를 내리다가 잘못 내려서 발목이 삐긋한 경우 
  • 국내에서 발생한 상해사고, 자전거, 개인형 이동장치(공유형  개인소) 인해 치료를 받은 경우 발생한 본인 부담 의료비에 대해 지급  
  • 과실 유무를 불문하고 응급비용, 치료, 수술, X선검사, 치과치료 구급차, 입원 등이 발생한 의료비
  • 15 이상 화성시민이 대한민국 내에서 발생한 상해사고, 개인형 동장치(공유형  개인소유 PM) 인한 상해사고로 사망시

 

보장범위가 애매한 경우에는 화성시 담당자에게 전화로 문의해보면 됩니다.

   - (전화문의) 02-2135-9453

   - (    ) 070-4758-8556

   - (  ) a18997751@hanmail.net

 

 

보험금 지급 제한사항

   교통사고 (, 자전거사고  개인형이동장치(공유/대여형 PM 포함), 어린이보호구역(12 이하),  노인보호구역(65 이상) 사고는 보장)

  산업재해사고  영조물 배상공제에서 보장하는 사고

  국민건강보험공단 부담 의료비

  비급여 항목

  질병  노환, 감염병

  15 미만의 상해사망

  장지 매입/임차 비용  납골당 비용

  자살(극단적 선택)

  기타 자세한 사항은 보험증권  보험약관에 따름

 

반응형
반응형

집 근처에 수영장을 찾아 보면.. 심심치 않게 주변에 수영장이 있는것 알 수있습니다. 

저렵하게 사용할수 있는 나라나 시에서 운영하는 수영장도 있고~ 

조금은 비싸지만 사설로 운영되는 수영장도 많이 있습니다. 

 

그런데, 대부분의 수영장이 25m 입니다. 

수영을 배울때 50M에서 배우라는 격언이 있는데요 

 

실제로 50M에서 주로 하다가 25M를 한번 가보니, 왜 그런지 알 것 같습니다. 

50M에서는 자유영을 해도 자신의 페이스를 만들어 가면서 지속적으로 할 수 있는데, 25M에서는 팔 몇번 저으면 바로 도착되어 버리니.. ㅋㅋ 

 

그래서 전국의 50M 수영장을 찾아 봤는데.. 이런.. 

생각보다 50M 수영장이 그렇게 많지가 않네요~ 

 

서울 : 총 6곳

- 올림픽 수영장 

- 잠실 제 1수영장 

- 한국체육대학교 수영장 

- 서울체육중공등학교 수영장

- 서울중랑천 야외수영장

- kbs 스포츠월드 (88체육관)

 

 

 

 

반응형
반응형

블루칼라 

과거 블루칼라의 의미는 청색 작업복을 입고 육체노동을 하는 노동자를 가리켰다.
현재의 블루칼라의 의미는 구체적으로 제조업, 광업, 건설업 관련 분야에서 주로 육체노동에 종사하는 노동자를 뜻한다.

주로 생산직이나 현장의 작업자들 또는 공장에서 일하는 사람을 일컷고 있습니다. 

블루칼라

 

화이트칼라

블루칼라와 대비되는 개념으로 등작하였는데, 주로 사무실에서 하얀 셔트를 입고 일을 한다고해서 화이트칼라

유독 한국에선 수입·학력·사회적 지위 등에서 우월하다는 인식이 있다. 직접 생산 부문과 간접 생산 부문의 노동은 육체 노동 정신 노동으로 대비되기도 하나

화이트칼라

 

 

골드칼라

그다음으로 등장한것이 바로 골드칼라? 

 

1985년 카네기멜론 대학 로버트 켈리 교수가 '골드칼라 노동자'라는 책에서 이 말을 처음 사용하였고, 능력위주의 창의적인 일로 부가가치를 낳는 인재를 뜻하는 말로 21세기 주도계층을 상징하는 말로 자리잡았습니다.

 

골드칼라는 주로 첨단기술, 서비스, 광고, 정보통신 등의 창조력과 정보를 이용하는 사업에서 능력을 발휘하고 있습니다. 

 

단순 육체 노동자를 뜻하는 블루칼라(blue-collar worker)와 정신노동자를 뜻하는 화이트칼라(white-collar worker)와 비교되는 말로, 육체적인 노동력이나 학력과 경력, 자격증과는 상관없이 아이디어가 골드칼라의 무기이다.

 

 

골드칼라의 주요 직업들 

  • 만화가, 소설가 
  • 디자이너 
  • 영화감독, 음악프로듀서 
  • 프로게이머 
  • 유튜버 

기존의 화이트칼라 직업군이 높은 학력이 유리했다면, 골드칼라 직업군에서는 개인의 창의성, 크리에이티브등의 중요해지고 있는 시대로 변화하고 있습니다. 

 

최근의 하이브와 민희진 사태에서 알게된 민희진이라는 인물의 직업도 높은 학력이 필요한 직업이 아니라, 뉴진스를 키워낸 PD 로서 개인의 역량이 중요한 직업임을 알 수 있다. 

 

또한 프로게이머로 유명한 페이커도 대표적인 골드칼라 직업으로 볼수 있습니다. 

 

또한 여행 유튜버로 시작해서 방송까지 진출하고 있는 빠니보틀도 대표적인 인물로 볼 수 있습니다. 

 

비슷하게 경재 구조도 자본주의 사회에서는 자본이 우위의 위치를 가지고 있었는데..

이제는 개개인의 능력이 조금더 중요해 지는 구조로 변경 되고 있네요

 

 

 

 

 

 

 

 

 

 

 

 

 

반응형
반응형

 

기초연금은 무엇인지 먼저 알아 봅시다. 

 

지금의 어르신들은 국가발전을 위해 노력하시고, 자녀를 위해 희생하셨지만 정작 자신의 노후를 준비하지 못하셨습니다.
어르신들의 안정된 노후생활을 도와드리기 위해 1988년부터 국민연금 제도가 시행되었지만,제도가 시행된 지 오래되지 않아 국민연금에 가입하지 못하신 분들이 많고, 가입을 하셨더라도 그 기간이 짧아 충분한 연금을 받지 못하시는 분들도 많습니다.
따라서 어르신들의 편안한 노후생활을 도와드리고 연금 혜택을 공평하게 나누어 드리기 위하여 기초연금을 드리는 것입니다.

또한, 지금의 청년들과 미래 세대는 더 많이, 오래 국민연금에 가입할 수 있어앞으로 더 많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을 합하여 안정적인 연금 혜택을 누리시게 될 것입니다.
그리고 국민연금 제도가 성숙함에 따라 자동적으로 기초연금이 조정되므로 미래의 재정부담도 줄어들게 됩니다.
현재의 심각한 노인빈곤문제를 해결하면서, 미래세대의 부담을 덜어드리고 노후에 안정된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기초연금 제도를 도입하게 되었습니다.

 

 

누가 받을수 있을까? 

대한민국 국적의 만 65세 이상이 대상입니다. 

그리고 연간 소득이 일정 이하이어야 됩니다. 

  • 단독가구 : 2,130,000원
  • 부부가구 : 3,408,000원

추가로 아래의 연금을 받고 있는 사람은 제외 됩니다. ( 중복수급 이슈로)

연금의 종류
급여의 종류
공무원연금, 사립학교교직원연금
퇴직연금, 퇴직연금일시금, 퇴직연금공제일시금, 장해연금, 장해보상금, 유족연금, 유족연금일시금, 순직유족연금 또는 유족일시금(유족일시금의 경우에는 순직공무원 유족이 유족연금을 갈음하여 선택한 경우로 한정한다.)
퇴역연금, 퇴역연금일시금, 퇴역연금공제일시금, 상이연금, 유족연금 또는 유족연금일시금
별정우체국연금
퇴직연금, 퇴직연금일시금, 퇴직연금공제일시금, 유족연금 또는 유족연금일시금
(국민연금과 직역연금의 연계급여)
연계퇴직연금 또는 연계퇴직유족연금 중 직역재직기간이 10년 이상인 경우의 연계퇴직연금 또는 연계퇴직유족연금

 

 * 이외에도 더 많은 연금종류가 있는데, 좀 더 자세한 내용은 아래 참고 

https://basicpension.mohw.go.kr/menu.es?mid=a10102010000

 

 

얼마를 받을수 있을까? 

2023년의 기준 연금액은 334,810원 입니다. 기준 금액을 100% 다 받게 되는 사람은 아래와 같습니다. 

  • 국민연금을 받지 않고 계신 분
  • 국민연금 월 급여액이 502,210원 이하인 분
  • 국민연금의 유족연금이나 장애연금을 받고 계신 분
  •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권자, 장애인연금을 받고 계신 분 등

그럼 국민연금을 받고 계신 분들은 어떻게 될까요? 

계산식은 아래처럼 복잡한데요.. 


 

기초연금액 = (기준연금액 - 2/3 × 국민연금A급여) + 부가연금액


국민연금 수급자는 국민연금A급여에 조정계수 2/3를 곱한 금액을 기준연금에서 차감하는 대신 부가연금액을 수령하며, 국민연금 미수급자는 국민연금 수급액이 없으므로 국민연금A급여 관련 부분을 기준연금액에서 차감하지 않는 대신 부가연금액은 수령하지 못하게 됩니다. 그리고 국민연금에 가입한 기간이 길수록 국민연금A급여의 수준이 높아져 기초연금액은 감소하게 되며, 국민연금A급여에 2/3을 곱한 수치가 기준연금액보다 크면, 부가연금액 만큼을 기초연금액으로 수급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기초연금액은 부가연금액과 기준연금액 사이에서 결정되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결과적으로는 나이가 많으신데, 소득이 적으신 분들에게 최소한의 복지 차원으로 지원되는 연금인 셈입니다. 그런데 올해는 아래처럼 기초연금을 받던 노인 분들이 줄어들었다고 합니다. https://imnews.imbc.com/replay/2024/nwdesk/article/6595573_36515.html

 

"기초연금 왜 줄었나요?"‥노인 민원 빗발친다

매달 수십만 원씩 지급되던 기초연금이 올해 대폭 감액되면서 관계 기관에 민원이 빗발치고 있습니다. 지난해 크게 오른 금융권 이자가 기초연금 삭감의 이유가 된 건데요. ...

imnews.imbc.com

 

뉴스의 대략적인 내용으로는.. 

국민연금을 받는 분들의 소득이 늘어나서 연금을 받는 기준 ( 단독가구 213만원) 을 넘어선 경우가 많다는 것입니다. 

그 이유로는 작년에 이율이 높아져서 이자소득이 증가해서 1년간의 소득이 213만원을 넘긴 경우가 늘었다. 

 

이자로 213만원을 받으려면, 대략 이율 5%로 계산해도 은행에 5천만원 정도를 넣어두어야 하는데.. ㅋㅋ 

 

 

반응형
반응형

우리나라의 기준금리는 2023년 1월 3.50%으로 오른후에 6개월간 동결상태를 유지해서 현재도 기준 금리는 3.50% 입니다. 

작년말부터 올해 초가지는 금리가 지속적으로 상승하던 시기라서 시중의 주택담보 대출 금리는 기적의 선반영을 해서 기준금리보다 훨씬 높은 6% 이상을 기록했다가 금리가 계속 동결되면서 5월에는 최저 4%대의 금리로 낮아졌었습니다. 

 

한국 기준금리

그런데, 최근들어서 주택담보 대출 금리가 다시 오르고 있습니다. 

주택담보 대출 이율이 오르는 이유는 대출이 원가라고 할수 있는 코픽스 금리가 올랐기 때문인데요.. 

 

변동금리 주택담보대출의 일종의 원가를 나타내는 지표는 코픽스(COFIX)로, 우리말로는 자금조달비용지수라고 부릅니다. 코픽스는 국내 8개 은행이 대출상품 만들어 파는데 들어간 원가를 평균낸 수치입니다. 코픽스가 올랐다는 것은 은행들이 대출해 줄 돈을 비싸게 들여왔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반대로 코픽스가 내릴 경우 자금을 보다 저렴하게 끌어왔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주택담보대출 변동금리 기준 코픽스 추이 (출처: 은행연합회)

 

그럼 코픽스 금리가 오른 이유 3가지를 살펴 보겠습니다.

첫째,  새마을금고 사태의 영향

현재는 진정세를 보이고 있지만, 얼마 전 새마을 금고에 대한 불안감이 커졌었습니다. 새마을금고 측에서는 불안감에 빠져나가는 예금과 적금을 지급해주기 위해서 가지고 있던 채권을 현금화했습니다. 그 채권들이 시장에 쏟아지면서 채권시장의 자금을 빨아들이기 시작했습니다.

 

새마을금고 같은 큰 곳이 커피 원두를 한꺼번에 사들여서 확보를 한다면 원두의 가격은 당연히 오를 수밖에 없습니다. 말하자면 한정된 자금 시장에서 새마을금고가 갑자기 자금을 빨아들이다 보니, 돈의 값인 금리는 올라갈 수밖에 없었다는 것입니다.

 

게다가 이는 다른 은행들에 연쇄적으로 영향을 미쳤습니다. 새마을금고 사태의 여파로 채권 금리가 오르니 다른 은행들이 채권을 발행해서 자금을 들여오는 것도 비싸졌습니다. 그러다 보니 은행들은 예금과 적금을 많이 유치해서 자금을 모으려고 했었는데, 이 상황이 맞물리면서 예적금 금리도 함께 따라 오르고 있습니다.

 

둘째, 은행 건전성에 대한 규제

금융 당국은 은행들에게 7월부터 유동성, 즉, 현금이나 현금으로 바로 바꿀 수 있는 자산을 원래보다 더 많이 확보하라고 요구했습니다. LCR, 유동성커버리지비율을 올리라고 한 것입니다.

 

※유동성커버리지비율(LCR): Liquidity Coverage Ratio, 은행이 외화 유출 등의 스트레스 상황을 한 달 동안 겪는다는 가정 하에 계산한 한 달 동안의 순현금유출 대비 고유동성 자산의 비율. (출처: 네이버 지식백과)

 

7월부터 LCR은 95%로 적용됩니다. 이에 은행들이 현금이나 현금성 자산을 끌어오다 보니, 시장금리가 가파르게 상승하게 되었습니다. 게다가 최근 두세 달 동안 새 부동산 거래도 반등하면서 주택 자금 수요가 커지기도 했습니다. 은행들이 돈을 확보할 일이 많아진 것입니다.

 

셋째, 미국의 금리 인상 영향 

미국의 중앙은행 격인 연방준비제도 FED는 오는 26일, 기준금리를 0.25%p 정도 한차례 더 올릴 것으로 예상됩니다. 기존의 예상보다 금리 인상  국면이 더 길어질 것이라는 예상에 점점 더 힘이 실리면서 금리가 조금이라도 더 저렴할 때 자금을 많이 저장해 둬야 한다는 인식이 퍼졌습니다. 그러면서 채권금리가 오르게 된 것입니다.

 

 

그러면 대출 금리는 앞으로 더 오르게 되는 거야?

 

언급한 세 가지 원인이 쉽게 사라지지는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새마을금고가 판매한 채권도 6월보다는 7월이 훨씬 많습니다. 금융투자협회 자료에 따르면 지난 7월 3일부터 14일까지 새마을 금고가 속한 상호금융권이 내다 판 채권 금액은 5조 원이 넘었습니다. 6월 한 달간 판 금액보다도 다섯 배나 큰 규모입니다. 이는 다음 달 COFIX에 반영될 가능성이 큽니다. 

 

또한 대출 금리가 높게 유지될 거라는 주장의 근거는 예금과 적금 금리가 빠르게 오르고 있다는 사실입니다. 은행은 채권을 발행해서 자금을 끌어오기도 하지만, 고객들한테 예금과 적금을 받아서 대출 자금으로 쓰기도 합니다.

 

예적금 금리를 올리기 위해서는 대출 금리를 높일 수밖에 없습니다. 여기에서 최근 누적 100만 명이 가입한 ‘청년도약계좌’를 금리 인상의 원인으로 들기도 합니다. 정책 금융 상품이다 보니, 금리를 파격적으로 제공할 수밖에 없는데요, 이렇게 유치한 적금도 은행이 보면 자금 조달이나 다름없습니다. 그러다 보니 원가가 올라 다른 대출에 영향을 줬다는 것이죠. 

 

 

추가로 수도권을 중심으로 부동산 시장도 점차 살아나는 모습을 보여서, 당분간은 대출 금리는 높게 유지될 것으로 보입니다.

 

 

 

반응형
반응형

최근 우리를 놀라게 하고 있는 챗GPT 같은 AI는 생성형 AI로 분류되는데, 이 생성형 AI 시장이 커지면서 HBM이라는 반도체가 주목을 받고 있다고 합니다. 이 시장에서의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경쟁에도 불이 붙었다고 합니다.

 

- HBM이 뭔데?

 

보통 좋은 메모리 반도체라 하면, 처리 속도와 용량이 좋은 반도체를 이야기합니다. 처리 속도는 CPU나 GPU가 명령을 내리면 메모리 반도체 얼마나 빨리 대응을 해줄 수 있느냐는 것이고, 용량은 얼마나 데이터를 많이 저장하고 있느냐는 것입니다.

 

그런데 아무리 고용량이고 속도가 빠른 메모리 반도체라고 하더라도, 시스템은 그 반도체 하나로 돌아가는 것이 아닙니다. 반도체의 데이터를 꺼내서 CPU나 GPU와 주고받아야 합니다. 다른 부품들과 소통을 해야 하는 것이죠. 그렇기 때문에 데이터를 밖으로 주고받는 통로가 얼마나 넓은지는 매우 중요한 부분입니다.

 

 통로의 폭을 바로 대역폭이라고 부릅니다. 이런 대역폭을 대대적으로 넓힌 반도체가 바로 HBM(High bandwidth memory)입니다. 우리 말로는 고대역폭 반도체라고 합니다.

 

메모리 반도체는 D램에 지네 발처럼 생긴 '핀'이 달려 있습니다. 이 핀을 통해서 데이터가 이동하고요. 보통은 이 핀이 8개가 달려있고, 많은 제품은 32개, 정말 많은 제품의 경우 512개가 달려 있습니다. 지금까지의 기술은 이 정도로 핀으로 해결이 됐는데, AI의 경우는 워낙 방대한 데이터를 처리하다 보니 기존의 방식으로는 데이터 병목 현상이 계속 발생하는 문제가 생기기 시작했습니다.

 

그래서 데이터 통로를 획기적으로 넓힐 수 있는 방법을 찾다가, D램을 옆으로 늘어놓지 말고, 아예 수직으로 쌓으면 어떨까하는 방식을 생각해냈습니다. 단독주택을 자꾸 짓지 말고, 아예 아파트처럼 D램을 위로 높게 쌓기 시작한 것입니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데이터가 통할 수 있는 문이 몇 개나 있느냐는 점입니다. 이 문이 많아야 데이터가 지나다닐 수 있는 통로가 넓어져서 병목 현상을 없앨 수 있기 때문입니다. HBM은 아파트 형식으로 D램을 위로 쌓은 다음에 D램끼리 위아래로 왔다 갔다 할 수 있는 수직 엘리베이터를 엄청나게 많이 만든 제품입니다.

 

프로세스의 병목 현상을 제거한 HBM. (출처: AMD)

 

수평으로만 드나들 수 있는 단독주택과는 달리, 아파트처럼 수직으로 쌓아 놓고 연결을 할 경우 넓은 면의 위아래를 연결하면 많은 문을 만들어서 드나들 수 있습니다. 이론적으로 굉장히 많은 엘리베이터를 만들 수 있는 것이죠.

 

 

SK하이닉스가 최근에 개발한 HBM은 D램 12개를 쌓았는데, 그 사이를 위아래로 왔다 갔다 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를 1,024개 만들었습니다. 엘리베이터가 1,000개가 있는 12층 아파트를 만든 것과 다름없습니다. 그만큼 데이터가 이동할 수 있는 길이 넓어진 것입니다.

 

D램을 꿰어낸 HBM 반도체 (출처: The JoongAng)

 

- HBM은 AI 반도체에 많이 쓰여?

 

그렇습니다. HBM 이전에는 중간에 GPU 하나를 두고, 그 주위에 빙 둘러서 D램을 12개를 까는 방식을 방식 사용했습니다. 만약 D램 하나에 핀이 32개라면, 핀의 개수는 384개입니다. 단독주택들이 줄지어 있는데 들어갈 수 있는 통로가 384개라는 것입니다.

 

이를 12층짜리 D램을 쌓은 HBM으로 대체할 경우 HBM 한개만 하더라도 통로가 1,024개이므로 훨씬 넓은 데이터 도로가 되는 것입니다. GPU 하나를 놓고 주위에 HBM을 보통 4개 정도까지 연결하기도 합니다. 즉, 1,024개에 4를 곱하면 4,096개로, 어마어마한 넓이의 통로가 생기는 것입니다.

 

이 정도면 풀HD 영화 600개를 1초에 전송하는 넓이라고 합니다. 결국 데이터가 지연되는 현상은 굉장히 감소하게 됩니다. 그래서 최근 AI 반도체 쪽에서는 HBM이 굉장히 각광을 받고 있습니다.

 

- 없어서 못 팔 정도라던데. 가격도 비싸겠네.

 

네. HBM은 일반 D램보다 5배에서 10배 정도 비싼 가격에 팔리고 있습니다. 그래서 실제 판매량으로 보면 전체의 1% 정도밖에 안되는데도 매출액 비중으로 따지면 10% 가까이 될 정도입니다. 굉장히 효자 품목이죠. 그래서 이익률도 매우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아직은 굉장히 초기 시장이긴 하지만, 앞으로 AI 반도체 수요가 더욱 많아지면 HBM 반도체의 수요는 갈수록 늘어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예상됩니다. 현재 HBM의 전체 시장 규모는 20억 달러, 한화로는 2조 5천억 원 수준인데, 최소 몇 배 이상 빠른 속도로 성장할 것으로 보입니다.

 

글로벌 HBM 시장 전망 (출처: The JoongAng)

 

특히 요즘 들어 삼성전자 SK하이닉스 같은 반도체 회사들이 수조 원씩 적자를 내고 있는 상황인데, HBM이 잘 팔리기 시작하면서 수익성에도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원래 D램 시장에서도 우리나라 기업들의 점유율이 약 70% 정도되기는 합니다만, HBM 시장에서의 점유율은 더 높은 상황입니다.

 

HBM 시장에서 SK하이닉스는 전체 점유율의 50% 정도를 차지하고 있고, 삼성전자가 40%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미국의 마이크론은 점유율이 10% 정도밖에 되지 않습니다. 우리나라 기업들이 아직은 굉장히 잘 하고 있기 때문에, 이 시장은 커질수록 한국의 반도체 업체들이 수혜를 보게 되는 구조입니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HBM 타임라인 (출처: The JoongAng)

 

- 잘 되면 좋을 텐데... 기술 자체가 쉽지는 않을 것 같네. 

 

HBM 개발 시 가장 어려운 부분은 반도체를 쌓아놓기 때문에 발열 문제가 생긴다는 점입니다. 그래서 잘못 만들 경우 반도체가 휘어질 수도 있습니다. 결국 이를 극복하는 방법이 기술적인 난제입니다. 발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반도체 사이사이에 발열을 막아주는 고순도 액체를 넣는 방식을 쓰기도 한다고 합니다. 이쪽 분야에서 연구 개발이 굉장히 많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요즘은 패키징 기술이 특히 중요해졌습니다. 왜냐하면 이미 미세하게 회로를 그리는 공정은 거의 기술 발전의 최대치까지 왔기 때문입니다. 앞으로 더 미세하게 만들 방법은 많지 않기 때문에, 이제는 기존의 반도체를 어떻게 붙여서 성능을 극대화할 것이냐가 관건입니다. 즉, 패키징 기술이 점점 더욱 중요한 시대로 흘러가고 있다는 것입니다.

 

현재 미국의 첨단 반도체 수출 금지로 인해 중국에서도 칩릿이라고 하는, 마치 레고 조각을 모으듯 조금 모자란 반도체를 가져다가 하나로 연결해서 사용하는 패키징 기술 개발이 굉장히 활발하게 개발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그렇게 하면 부피는 조금 커지고 모양은 좀 없더라도 기능 자체는 큰 문제가 없어지기 때문에, 미국이 첨단 반도체 수출 금지해도 큰 타격을 받지 않게 됩니다. 앞으로는 이 패키징 기술의 흐름이 반도체의 패권에 굉장히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입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