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1월 국토교통부에서 주택통계를 발표했습니다.
http://www.molit.go.kr/USR/NEWS/m_71/dtl.jsp?id=95087963
국토교통부에서 알려드립니다
www.molit.go.kr

미분양주택
- 부동산 시작의 방향을 볼때 중요한 미분양 통계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 전국의 미분양 주택은 총 75,359호로 집계되었으며, 전월(68,148호) 대비 10.6%(7,211호) 증가하였다
- 지역별로는
- 수도권은 12,257호로 전월(11,076호) 대비 10.7%(1,181호) 증가
- 지방은 63,102호로 전월(57,072호) 대비 10.6%(6,030호) 증가

미분양 주택수는 상당히 중요한 지표인데, 국토부장관은 아직 미분양 주택을 매입할 계획이 없다고 합니다.
- 건설사가 배짱분양으로 고분양한걸 세금으로 매울 필요가 없다.
- 일단은 건설사가 할인 분양등으로 자구책을 마련하는게 좋다.
미분양 주택수가 늘어나면서 신규 주택 건설수도 줄어들고 있긴한데요, 일단은 맞는 방향인것 같긴한데, 향후 미래에 주택 수요 감소에 대한 걱정은 있긴 합니다.

- 인허가 단계는 대략 5년후의 주택공급 수치를 예상할수 있는 데이터이고,
- 착공은 단계는 아파트 건설에 대략 2~3년이 걸리는므로 향후 예상할수 있는 수치입니다.
- 분양과 준공 수치도 모두 감소상태입니다.
주택거래량

- 아파트 거래량은 수도권, 서울 모두 감소 하고 있습니다.
- 전체수치에서 전년동월(22년1월) 대비 38% 감소하고, 5년평균 대비 63% 감소했으므로 거래 절벽이라고 할 수있습니다.
- 아파트거래양
- 전월(22년12월)대비 소폭 상승하였지만, 작년 12월 거래량이 워낙 없어서 반응으로 보기는 조금 어렵
- 5년 평균대비로는 역시나 72% 감소한 수치입니다.
- 엇! 서울시 아파트 거래량 수치가 다른것 같은데요
- 국토부 발표자료는 신고일 기준
- 서울시 발표자료는 거래인 기준 ( 서울시가 신고된 자료를 거래일로 다시 분류해서 발표 )
- 참고로 서울시가 발표한 23년1월 아파트 거래건수는 대략 1400건임
그럼 4줄로 요약해보면
- 미분양 증가
- 매매거래량 감소
- 전월세 거래량 증가
- 인허가/실적/분양/준공 감소
'부동산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남 광양시 황금동 : 하자 천국 아파트 (0) | 2024.07.08 |
---|---|
전세가율의 뜻과 의미해석 (0) | 2023.03.05 |
자가진단 안심전세 앱 - 전세사기 방지 가능할까? (0) | 2022.09.04 |
수익형부동산의 가치(가격)산정 방법 : 수익환원법 (0) | 2022.08.06 |
[지식산업센터] 2022년 7월 동탄 금강펜테리움IX타워 매매/월세 동향 분석 (0) | 2022.07.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