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 3. 26. 11:35


1. 슈퍼문이란? 


1979년에 점성술사 Richard Nolle가 만든 단어이다. 천문학에서는 슈퍼문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지 않는다. 천문학에서는 근지점 또는 원지점으로 부른다.


근지점 : 타원형 궤도에서 가장 가까운 지점.  

원지점 : 타원형 궤도에서 가장 먼지점. 


지구 주위를 타원형 궤도로 돌고 있는 달이 지구와 가장 가까워 지는 근지점에 왔을때 달이 크게 보이는 현상을 슈퍼문이라고 부른다. 

( 아래 사진에서 오른쪽이 슈퍼문, 왼쪽이 보통 ) 


                                    





2. 발생 원인? 


지구 주위를 타원 궤도로 돌고 있는 달이 어떨때 더 가까워 지는 걸까? 

그 답은 태양과 관련이 있다. 



위사진처럼 달 - 지구 - 태양 이 일직선으로 위치하는것을 망이라고 하는데, 이럴때, 태양의 인력으로 인해서 달과 지구가 더 가까워지게 된다. 




3. 슈퍼문 소문? 


조수간만의 차이가 평소보다 더 커지는등의 사실 이외에 떠 돌고 있는 소문들이다. 

물론 사실 확인은 안된 상태이다. 



 - 보름달이 대형 지진을 부른다. ( 뉴스 )

 - 슈퍼문으로 인해서 빙하다 많이 떠 내려와서 타이타닉호가 침몰했다는 소문. 

 - 1974년 오스트레일리아에서 강한 사이클론이 발생했다. 

 - 2005년 남아시아에 대형 지진이 터졌다. 





4. 다음 슈퍼문은? 


아래는 한국을 기준으로 슈퍼문이 발생한것을 지구와 달의 거리가 가까운 순으로 정리한 것이다. 

순번날짜시각거리 (km)비고
11948년 1월 26일20시 17분356,462보름달[8]
22016년 11월 14일20시 24분356,511보름달
31975년 2월 26일6시 58분356,519보름달
41972년 11월 21일9시 3분356,524보름달
51990년 12월 2일19시 49분356,526보름달
61993년 3월 8일17시 36분356,529보름달

2016년에 68년만의 커다란 슈퍼문의 발생하였고, 다음 슈퍼문은 17년뒤인 2034년 11월 으로 예상된다. 



Posted by 한번
2017. 3. 25. 22:41


리포트 날짜 : 2017-03-23

리포트 발행 : 이베스트투자증권 



통신주 모멘텀이 좋아서 일까?

 => 성장성으로 볼 때 한국 통신주가 딱히 매력적이지는 않다.


향후 성장을 보아서 일까?

 => 성장성으로 볼 때 한국 통신주가 딱히 매력적이지는 않다.


물론 배당수익률이나 밸류에이션을 보면 미국이나 일본 통신업종에 비해서 매력적이다. 그렇다고 한국 통신업종을 지분율 한도를꽉 채우면서까지 매수할 유인은 아니다. 

 => 그런데 외국인은 통신주를 매수하고 있다.




달리 보면 단순히 한국시장 매수와 동반해서 통신주를 매수하는 것일 수 있다. 통신

주 외국인 매수와 한국시장 외국인 매수패턴에서 나타난 특징으로 외국인이 한국시

장을 추세적으로 매수하기 시작할 때 통신주의 외국인 매수가 진행된다.


또한 배당수익률 수준을 비교해 보면 한국 통신업종 매수가 나쁠 것이 없다. 미국, 일

본과 비교해 16년부터 뚜렷하게 높은 배당수익률을 보여주고 있다. 밸류에이션을 비

교해 봐도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이다. 수익성이 상대적으로 낮지만 통신주에서 특별

한 모멘텀을 기대하진 않을 것이다.





원문보기 

http://imgstock.naver.com/upload/research/invest/1489972728049.pdf



Posted by 한번
2013. 10. 22. 23:15

회사 근처에 핸드드립 커피점이 있다. 거기는 커피 가격이 붙어있는 일반 커피점과는 다르게 커피 가격이 범위로 되어 있다.  예를들면 스타벅스 같은데 가면 아메리카노가 3,500 이렇게 정가가 붙었는데 여기서는 6000~8000 으로 가격이 범위로 정해진다.  그래서 주인에게 물어보니 핸드드립으로 사용하는 커피 원두에 따라서 그때 그때 가격이 다르기 때문에 그렇다고 한다. 그러나 주변 사람들에 의하면 주인 아저씨 기분에 따라서 그냥 받는다고 하는 것 같다. 혹자는 그날 매상이 잘 나왔으면 적게 받고 매상이 안나왔으면 더 받는다고도 한다. 


어째든 이 커피집에서 였다. 더치커피를 처음 먹어본것이. 부드럽고 맛이 좋았다. 오래 두어도 맛이 변하지 않는 느낌이었다. 아저씨 설명으로는 찬물로 드립 한게 더치커피라고 하였다. 네이버에서 찾아보니 아래처러 설명한다. 



부실해서 더 찾아보니 아래같은 설명이 있다. 

더치커피 뜻은 350년간 네달란드 식민지던 인도네시아에서 커피를 우려내는 방식에서 유래된 커피 음용법을 말한다.

더치커피 뜻과 함께 궁금증을 자애내고 있는 더치커피 시음 방법으로은 뜨거운 물로 커피를 우려내는 기존의 방법과는 달리 차가운 물로 우려낸다는 점이 특이 사항이다.

더치커피의 더치라는 뜻은 네덜란드를 뜻한다.


그래서 그런지 더치로 검색해보면 더치 원액도 팔고 있다. 찬물로 내려서 그런지는 모르겠으나 맛과 향이 오래 가는 느낌이었다. 


더치를 만들기 위해서는 오랜시간동안 천천히 드립해야 되서 위와 같은 기구가 필요하다. 그 커피집에서도 이렇게 비슷한것 봤었다. 누군가는 더치를 만들기 위해 아래처럼 간단한 방법을 고안하기도 하였다 




이렇게 할 바에는 8,000 원 주고 카페가서 사먹고 말겠다. ㅋㅋ 

마지막으로 더치커피를 더 맛있게 먹을 수 있는 방법을 소개한다. 




더치 아메리카노, 더치라떼, 더치언더락, 더치에이드, 더치포가토등 종류가 많다. 근데 더치 언더락과 아이드더치는 별 차이가 없어 보인다. 



Posted by 한번
2013. 10. 21. 23:26

오늘 애플에서 앱등록을 하기 위해서는 사업자등록번호 또는 통신판매업자 등록번호를 요구하였다가 몇시간 만에 철회하는 사건이 있었습니다. 왜 이런 일이 일어난걸까요? 

간단하게 정리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1. 2010년 정부의 과세요구  (이미 구글은 유료앱에 한하여 사업자 등록을 하도록 하고 있음)


#2. 애플은 그동안 쌩깠음...   한국법인을 설립하여 해결이 가능하고, 구글과 같이 유료앱에 한해 사업자등록을 요구할수도 있었음

- 지난 3년간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않음 

- 현재 애플은 룩셈부르크 조세피난처를 이용하여 세금 한푼 안내고 앱 판매대금을 자기네 나라로 퍼감


#3. 정부는 이에 재차 애플에 과세 요구 (결코 앱 개발자에게 사업자 등록을 요구한게 아님)


#4. 애플은 빡쳤는지 무슨생각인지 유료건 무료건 사업자 등록을 강제함 

(자기들이 내야할 세금을 개발자에게 사업자등록 의무를 떠넘김으로 해결하려고함)


#5. 애플코리아 중국도 안하는짓이라고 언플시도,  그러나 전말이 밝혀지면서 여론이 갑자기 반대로 급물쌀을 탐


#6. 사업자등록이 갑자기 사라짐


일단은 해프닝처럼 끝난것 같지만 언제 다시 애플에 이런짓을 할 지 모릅니다. 

Posted by 한번
2013. 10. 9. 23:35

현재의 버냉키의장을 누가 대체 할 수 있을까 했는데, 여성인 옐런이 될 것 같습니다. 오바마 대통령이 차기 연방준비제의 의장으로 옐런을 지명하였는데요, 옐런은 연준(연방준비제도)의 부의장을 하고 있던 사람입니다. 



full-name은 재닛 루이스 옐런(Janet Louise Yellen) 이구요. 우리나라에서 아는 사람은 알지만 그래도 버냉키만큼 익숙한 이름은 아닙니다. 그래거 옐런에 대해서 간략하게 알아 보겠습니다. 


[출생 및 가족관계]

1946년 출생 (뉴욕)

배우자 : 조지 애컬로프 (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 UC 버클리 대학의 경제학 교수 )

아들 : 로버트 애컬러프 (영국 워윅 대학에서 경제학 교수로 재직 )


본인을 비롯해서 배우자및 자녀까지 완전한 경제학자 집안입니다. 노벨경제학상을 수상한 남편과 예일대 출신의 계정학 박사라는 배경은 그녀를 설명할때 빙산의 일각입니다. 

그 이유는 아래의 약력을 보면 알 수 있습니다. 

1971 : 예일대 경제학 박사 

1976 까지  : 하버드 대학의 경제학 조교수

1977~1978 : 연준 이사회의 경제연구원 

1980~1985 : 캘리포니아대학교 경영대학원 교수 

1997~1999 : 백악관 경제자문위원회 위원장 ( 빌 클린턴 대통령 시절 ) 

2004 ~ 2010 : 샌프란지스코 연방은행 총재 

2007 : 연방준비제도 이사회  

2010 : 연방준비제도 부위원장 


멋진 경력이네요. 



[경제노선]

'물가안정'과 '완전고용' 가운데 물가보다는 '고용 쪽(employment-focused)'에 더 관심을 더 두고 있는 이른바 '비둘기파(dove)'로 평가된다. 

또한 예전의 미국을 위기로 몰고 갔을뿐 아니라 우리나라도 영향을 받았던 서브프라임 모기지의 위험성을 경고하여 정확한 경제 예측력을 가졌다고 평가되고 있다. 

옐런의 지명으로 양적완화 정책이 당분간 더 지속할 가능성이 커졌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Posted by 한번
2013. 10. 6. 23:40

일(월)에는 보금자리지구인 내곡지구1단지, 세곡2지구1단지에서 사전예약당첨자와 특별분양 대상자들의 청약접수가 시작된다. 서초구 내곡지구 1단지는 전용 59~114㎡ 총 1,264가구 가운데 555가구(사전예약 당첨자 347가구 + 특별분양 208가구)를, 강남구 세곡2지구 1단지는 전용 59~114㎡ 총 787가구 가운데 597가구(사전청약 당첨자 447가구 + 특별분양 150가구)의 접수를 받는다.


8일(화)에는 대우건설이 짓는 위례신도시 위례센트럴푸르지오, 위례그린파크푸르지오가 1순위 접수를 받는다. 위례 센트럴푸르지오는 위례신도시 A2-9블록(성남권역)에 전용 94~101㎡ 총 687가구로 위례신도시 민영아파트 가운데 전용 94㎡가 유일하게 포함 돼 있으며 분양가는 3.3㎡당 1700만원대로 공급됐다. 



11일(금)에는 서울 관악구 행운동 관악 파크 푸르지오 전용 59~84㎡ 총 363가구 중 196가구가 접수를 받는다. 단지 뒤로 까치산공원을 접하고 남향으로 조망이 트였다. 일부세대는 테라스 하우스로 설계 됐다.

Posted by 한번
2013. 10. 5. 23:35

일 오후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우동 '영화의 전당'에서 '제18회 부산국제영화제(BIFF)' 개막식 레드카펫 행사가 열렸다.배우 한수아가 포토타임을 마치고 이동하고 있다. 

아래 사진을 보면 뭔가 보이는것 같은데.. 




한수아의 주요 출연작은 

2013 - 최고다 이순신 

2012 - 각시탈 


위 사진은 뭐~ 최고내요~ 


허벅지는 약간 건강미가 넘치네요 

'방송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라디오스타] 김소영 아나운서  (0) 2017.04.06
[방송] 고등래퍼 MC그리 너구리  (0) 2017.03.30
걸그룹 가창력 순위  (0) 2012.02.26
[2NE1] Lonely  (0) 2012.02.25
[K팝스타] 생방송 탑10 진출자 스포  (0) 2012.02.20
Posted by 한번
2013. 10. 5. 01:56


카카오톡을 만든회사 - 카카오 


자본금 - 130억 

액면가 - 500원 

발행주식수 - 26,162,330 (약 2천6백만주) 

설립일 - 2006.12.01 

장외거래 시세 - 6만원~7만5천원 

장외거래 시세를 7만원으로 계산하면, 현재의 시가총액을 구할수 있는데.. 대단하네요~ 


26,162,330 * 7만 = 1,831,363,100,000  ( 약 1초 8천억


카카오 뮤직이 나왔는데 나오자 마자 안드로이드 마켓에서 1등을 하고 뮤직App 순위에서는 2위를 했다고 하네요. 1등은 멜론인데, 멜론이 독보적인 위치이고 2~5등은 도토리 키재기인 상태입니다. 일단 도토리에서는 1등을 한상태이고 카카오톡 유저의 힘을 받으면 멜론도 추격가능하리라 생각됩니다. 


비상장 회사라서 정확한 지분율을 파악하기 어려운데요. 

대력적인 지분율을 찾을수 있었습니다. 아무래도 창업자인 김범수대표의 지분이 제일 많네요. 위메이드도 5%이상 가지고 있구요. 중국 텐센트에서 투자했다고 하는데, 지분 정보는 없네요..  

김범수 : 30.9% 

(주) 아이위서비싀 : 24.5% 

Maximo Pte. Ltd.(13.8%)  <- 이게 텐센트 인듯

(주)위메이드 엔터테인먼트(5.7%)



작년에 텐센트로부터 720억, 위메이드로부터 200억을 투자받았다고 했으니, 위메이드가 5%이면 텐센트는 15%정도의 지분율이 있을것 같은데요.. 기사를 찾아보니 13.8% 지분으로 2대 주주라는 소리가 있네요.. 

카카오 페이지로 한때 죽쓰다가 요즘 뮤직으로 다시 회생하길 기대합니다. 



Posted by 한번